산림청“소나무림도 피톤치드 배출 많아”
- 산림치유연구사업단 발표... 자생 침엽수종도 편백나무와 비슷 -
□ 국내 주요 침엽수종(소나무‧잣나무 등 잎이 뾰족한 식물)의 피톤치드 배출량이 가로수로 많이 사용되는 편백나무와 비슷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. 특히, 소나무림의 피톤치드 배출량은 편백나무 보다 오히려 4배 정도 많았다.
* 피톤치드: 나무가 해충과 병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내뿜는 자연 향균물질. 삼림욕을 통해 피톤치드를 마시면 심리적 안정과 심폐기능 강화, 살균 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□ 산림청(청장 신원섭)이 후원하는 산림치유연구사업단(단장 신창섭)은 30일 전북대학교에서 열린 산림휴양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내 주요 수종의 피톤치드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.
○ 사업단은 국내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주요 침엽수종 4종(소나무, 잣나무, 낙엽송, 편백나무)에 대한 여름철 피톤치드 배출량을 비교했다.
○ 연구는 수종별 자생지를 대상으로 20종의 피톤치드 물질을 선정해 새벽 1시부터 저녁 12시까지 한 시간 단위로 24회 반복해 측정했다.
□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 많이 있는 소나무, 잣나무, 낙엽송림도 피톤치드 배출량에 있어 편백나무와 큰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.
○ 대기 중 피톤치드 평균농도가 가장 높은 수종은 소나무(3.26±0.66ng/m3)로 편백나무(0.78±0.22ng/m3)보다 4배 가량 높았다. 또한, 잣나무, 낙엽송도 편백나무 보다 더 많은 피톤치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구분 | 소나무 | 잣나무 | 낙엽송 | 편백나무 |
대기 중 피톤치드 평균 농도 | 3.26±0.66ng/m3 | 1.75±0.24ng/m3 | 1.11±0.24ng/m3 | 0.78±0.22ng/m3 |
○ 이에 산림치유연구사업단 관계자는 “전국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치유의 숲 조성 시 특정 수종만 심는 것 보다는 국내 자생수종을 건강히 관리하는 것이 산림 치유효과를 높일 수 있다.”라고 조언했다.
□ 산림청 임영석 산림휴양치유과장은 “산림청과 산림치유연구사업단은 2016년까지 ‘산림과 건강증진의 관계에 대한 효과규명’ 연구를 진행 중”이라며 “앞으로도 산림치유 추진기반 마련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.”라고 말했다.
'산림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림청올바른 산행‧산림휴양문화 국민 서명 50만 명 돌파 (0) | 2015.11.03 |
---|---|
산림청 후원 편백나무 정유, 염증 억제 효과 있다 (0) | 2015.11.03 |
산림청“민간정원 1호를 선정” (0) | 2015.10.29 |
산림청“나라꽃 피는 학교 함께 만들어요” (0) | 2015.10.29 |
산림청, 산나물 등 임산물 재배 허가, 신고 없이 가능 (0) | 2015.10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