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산과학원, 미꾸라지 종 판별위한 유전자 마커 개발
- 유전자 분석 통해 위해우려종 수입산 미꾸라지 가려낸다 -
■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(원장 서장우)은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든 수입산 미꾸라지를 신속 정확하게 판별 할 수 있는 유전자(DNA) 마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.
○ 미꾸라지류 중에서 국내로 수입 가능한 종은 미꾸라지 1종이나 최근 수입단가가 낮아 미꾸라지와 비슷하게 생긴 ‘위해우려종*’ (Parimisgurnus dabryanus)이 섞여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.
*위해우려종 : 국내 유입될 경우 생태계 교란 등 위해를 미칠 우려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종
○ 이 위해우려종(P. dabryanus)은 미꾸라지보다 성장이 빠르긴 하지만 국내 유입 시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어 환경부에서 ‘위해우려종’으로 지정한 품종이다.
○ 책임운영기관인 국립수산과학원은 미꾸라지, 미꾸리, 위해우려종(P. dabryanus) 등 3개 어종의 DNA 특정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전자형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 개발에 성공해 미꾸라지의 종을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다.
■ 미꾸라지는 보양식으로 알려진 ‘추어탕’의 재료로 국내 생산량이 약 820톤이나 수입량은 약 9,000톤에 이른다.
○ 국내 내수면의 미꾸라지 양식산업은 대부분 중국산 양식용 미꾸라지 치어를 수입하여 이뤄지고 있으며, 식용 활(活)미꾸라지 수입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.
*미꾸라지 생산량(톤)/금액(억원): ('15) 860/89 → ('16) 831/85 → ('17) 824/87
*미꾸라지 수입량(톤)/금액(억원): ('15) 8,824/528 → ('16) 8,800/532 → ('17) 9,014/504
*양식용(톤)/식용(톤): (‘15) 547/8,210 → (’16) 536/8,316 → (‘17) 533/8,437
■ 이정호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장은 “수입산 미꾸라지 중 위해우려종의 혼용으로 인해 양식어가의 피해와 생태계 교란을 막기 위해 이번에 개발한 미꾸라지 종 판별기술을 유관기관에 최대한 빨리 기술이전을 추진하겠다.”라고 말했다. =울산광역매일/양산=박명찬
'산림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양산국유림관리소 산불로 부터“안전한 대한민국” (0) | 2019.03.18 |
---|---|
산림청, 제29기 한국숲사랑청소년단 대원 모집 (0) | 2019.03.04 |
산림청, 권역별 산지관리 담당자 교육 실시 (0) | 2019.02.21 |
산림청, 오는 25일 정부대전청사서 ‘임산물 직거래장터’ 개최 (0) | 2019.01.23 |
산림청, 우리 숲 활용방안 토론회’ 개최 (0) | 2018.12.04 |